서명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
목차
목차
책을 발간하며 = 15
1부 근대 한국사회와 한국신종교의 발생
 제1장 서론
  1. 근대 한국의 급격한 사회변동과 새로운 종교운동 = 29
  2. 한국신종교의 시대정신과 독창적 가치 = 37
  3.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연구방법 = 41
 제2장 한국 근세사 사회적 배경과 사조의 변화
  1. 조선 후기 개방정책의 변화와 사회적 배경 = 51
  2. 유교의 통치이념 변화와 실학운동 = 56
  3. 서학(西學, 기독교)의 전래와 서구문화의 수용 = 63
  4. 서학에 대한 한국신종교의 대응 = 69
 제3장 한국신종교 창시자들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
  1. 수운 최제우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= 77
  2. 증산(甑山) 강일순(姜一淳)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= 86
  3. 홍암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= 92
  4. 소태산의 종교체험과 교단형성 = 103
2부 한국신종교의 사상적 특징
 제4장 천도교의 중심사상 - "사람이 곧 하늘(人乃天)"
  1. 수운의 시천주(侍天主)사상 = 131
  2. 수심정기(守心正氣)의 수행 = 136
 제5장 증산교의 중심사상 - 상제 신앙과 해원상생
  1. 증산교의 증산상제 신앙 = 143
  2. 해원상생(解冤相生)사상 = 146
 제6장 대종교의 중심사상 - 단군중심의 삼신일체(三神一體) 신앙
  1. 홍암의 단군 이전 환인ㆍ환웅에 대한 인식 = 162
  2. 환인ㆍ환웅ㆍ단군 호칭의 재해석 = 169
  3. 삼신일체(三神一體) 신앙의 체계화 = 175
 제7장 원불교의 중심사상 - 일원상(一圓相)의 진리와 사은(四恩)사상
  1. 일원상(一圓相)의 진리 = 181
  2. 사은(四恩)과 보은(報恩) 실천 = 187
 제8장 수운(水雲), 증산(甑山), 홍암(弘巖), 소태산(少太山)의 대외인식 - 일본관을 중심으로
  1. 수운의 적대적 일본관 = 199
  2. 증산의 우호적 일본관 = 201
  3. 홍암의 일본관과 정교분리 = 204
  4. 소태산의 강약(强弱)진화적 일본관 = 207
3부 한국신종교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
 제9장 수운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
  1. 수운의 '다시 개벽'사상 = 226
  2. 수운의 이상적 세계관 - 대망(大望) 신앙과 지상천국(地上天國) = 230
 제10장 증산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
  1. 증산의 개벽사상 = 234
  2. 증산의 이상적 세계관 - 선경(仙境)의 조화(調和)적 세계 = 238
 제11장 홍암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
  1. 홍암(弘巖)의 중광(重光)사상 = 256
  2. 홍암의 이상적 세계관 - 이화세계(理化世界) 홍익인간(弘益人間) = 262
 제12장 소태산의 개벽사상과 이상적 세계관
  1. 소태산의 개벽사상 = 268
  2. 소태산의 이상적 세계관 - 참낙원과 조화의 문명세계 = 291
4부 한국신종교의 종교문화와 의례
 제13장 한국신종교의 신화ㆍ상징ㆍ의례 체계 비교연구
  1. 한국신종교 의례의 정의, 범주, 신화적 요소 = 305
  2. 신종교의례에 나타난 성속(聖俗)의 상징체계 - 천(天)ㆍ인(人) 또는 신(神)ㆍ인(人)의 관계를 중심으로 = 318
  3. 신종교의례에 나타난 사회 변혁의 상징성 = 335
 제14장 천도교, 증산교, 대종교, 원불교의 통과의례
  1. 천도교, 증산교, 대종교, 원불교의 통과의례 구성과 과정 = 342
  2. 통과의례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 = 364
 제15장 대종교의 제천(祭天)의례
  1. 대종교의 단군신화 수용과 전승 = 385
  2. 대종교 제천의례 체계 - 선의식(䄠儀式) = 389
 제16장 원불교의 종교의례 - 법인(法認)기도(혈인(血印)기도)
  1. 법인(法認)기도의 역사적 전개와 진행방식 = 412
  2. 법인기도의 상징체계 = 419
5부 한국신종교의 사회참여운동
 제17장 일제치하의 신문화운동
  1. 일제치하 신문화 운동사 개관 = 438
  2. 천도교의 신문화운동 = 446
  3. 증산교ㆍ대종교ㆍ원불교의 신문화운동 = 456
 제18장 근현대 정치와 종교의 상관적 관계
  1. 일제치하의 정치와 종교의 관계 = 459
  2. 해방 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의 정교분리정책 = 462
  3. 군사정권하의 정교분리정책 = 465
  4. 민주화정권하의 정교분리정책 = 467
 제19장 남북 종교교류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실천운동
  1.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 = 471
  2. 남북한 종교교류의 성찰 = 480
  3. 남북한 관계개선을 위한 종교계의 역할 = 487
 제20장 원불교 사회참여운동의 전개양상과 과제
  1. 원불교의 개교정신과 사회참여 = 508
  2. 원불교의 사회참여운동의 전개양상 = 510
  3. 원불교 시민운동의 평가와 과제 = 532
 제21장 종교협력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
  1. 국제적 종교 간 대화협력운동의 전개 = 540
  2. 종교다원주의와 종교 간 대화 = 552
  3. 종교협력운동의 세계보편윤리 구상 = 559
  4. 국제 종교연합운동의 실천적 과제 - 한반도 평화 실현의 공동 노력 = 560
결어: 조화의 문명세계를 위한 종교의 역할 = 567
참고문헌(Bibliography) = 573
찾아보기(Index) = 635